-
아파트 기준시가 조회카테고리 없음 2020. 9. 3. 19:45
현재 저는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지방에 있는 아파트라서 그런지 시세가 그렇게 높지는 않은데요, 어차피 서울은 워낙 집값이 비싸서 살수도 없습니다. 이번시간에는 아파트 기준시가 조회해보는 방법을 준비해보았습니다. 이걸 알아야하는 이유는 부동산세, 재산세, 상속세, 증여세, 취득세 등 세금부과의 기준이 되기때문인데요
그럼 곧바로 해당 정보를 열람할 수 있는 사이트를 찾아서 접속해보겠습니다. 국토교통부 한국감정원의 부동산 공시가격 알리미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됩니다. 메인화면 상단에 있는 [주택] 메뉴를 눌러주시고 [공동주택공시가격] 항목을 선택하여 [공동주택가격 열람] 항목을 선택합니다.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기기에서 이용시 원활한 열람이 어려울 수 있으니, PC접속 또는 부동산정보 앱으로 열람해주세요.
검색방법은 두가지가 있으며, 각각은 텍스트 그리고 지도검색입니다. 저는 전자를 활용하여 도로명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공원로에 있는 아파트단지를 찾아보았는데요,
제가 저기에 살고있는것은 아니구요 그냥 임의로 고른겁니다. 만약 멸실 등으로 주소가 변경된 경우에는 [공시기준일 검색]을 선택 후, 변경 전 주소로 조회하세요.
이제 결과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지명은 혹시몰라서 모자이크 처리를 하였습니다. 공시기준, 단지명, 동명, 호명, 전용면적, 공동주택가격 정보가 나와있는데요 이 아파트의 경우 지난 2006년에는 1억원이었다가 현재는 거의 2억까지 가격이 올랐습니다. 공시가격이라서 실제 매매가는 더 비쌀겁니다.
공동주택가격 출력을 원하시면 [열람가격출력] 버튼을 눌러줍니다. 그리고 2005년 이전 공동주택에 대한 기준시가는 국세청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열람가격 출력을 위해서는 필수정보를 입력해야하는데 이름과 생년월일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럼 이것으로 아파트 기준시가 조회하는 방법 안내를 마치구요, 여러분들이 거주하고있는 주택의 가격도 조회해보시기 바랍니다.